반응형
얼마 전에 글을 쓰는데 뭔가 이상한 거다. 설거지? 설겆이? 뭐가 맞는 거지?
이상했던 이유는 설거지 하면 뭔가 거지가 생각나는 게 그 이유였다. 그리고 발음도 뭔가 부드럽게 비어 보이는 것이다. 우리나라 말은 받침들이 많아서 뭔가 부드러운 느낌은 없어보이는데 이건 그렇지 않아서 설겆이 인가 해서 찾아본 것이다.
과거에는 설겆이가 표준어였다. (1989년 이전)
확인해 보니 1989년 개정된 한글맞춤법 규정에 따라 표준어로서 두 단어의 지위가 바뀐 것을 알았다. 과거에는 설겆이가 표준어였으나, 현재는 설거지가 표준어이다. 설겆이를 버리고 비표준어였던 설거지를 표준어로 인정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설겆이는 어간 ‘설겆-’ + 명사형 접미사 ‘이’ 가 붙은 형태이다. 그러기 때문에 설겆다가 기본형이므로 설겆으니, 설겆더니, 설겆어라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표준어로서의 지위를 잃은 단어
근데 형태가 문제였는지 발음이 문제였는지 잘 쓰이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사어가 되었고 후에 고어가 되었다. 고어가 돼 어간 ‘설겆-’은 단어 형성의 근거가 사라지면서 표준어인 설겆이는 표준어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것이다.
'오얏' , '머귀 나무' , '애닮다' 가 여기에 속하는 단어들이다.
자주 쓰이고 널리 쓰이는 단어가 표준어 자리로 들어간다.
대신 현재 사용되는 ‘설거지’를 단일명사로서 인정하여 표준어로 삼았다. 설거지를 하는 행위 역시 동사 ‘설거지하다’로 표준어에 함께 등재하고 있다.
반응형
'윤재들과 함께 하는 > 국어 받아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사전] 말마따나. (0) | 2022.12.10 |
---|---|
[맞춤법] 몇 일과 며칠 (0) | 2022.11.17 |
[맞춤법] '율' 과 '률' (1) | 2022.11.08 |
[받아쓰기] 시의적절? 시기적절? (1) | 2022.09.29 |
[띄어 쓰기] ‘풀어 주다’ / ‘놓아주다’ (2) | 2022.09.19 |